티스토리 뷰
주식 코스피 코스닥 차이, 뜻, 순위
최근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주식에 관심을 가지고 계십니다.
주식을 하지 않아도 코스피 코스닥에 대해서는 많이들 들어보셨을 텐데요.
주식을 하기 전, 코스피 코스닥 뜻, 차이, 시가총액 순위 등 개념을 알차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코스피 vs 코스닥
코스피 vs 코스닥
코스피 뜻
코스피(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는 한국 종합주가지수로 불리며,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회사들의 주식에 대한 총합인 시가총액의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비교하여 나타낸 종합지표
코스닥 뜻
코스닥(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은 미국의 나스닥을 따라 한국식으로 영문 합성한 단어, 한국의 장외주식시장
코스피 코스닥 차이
코스피와 코스닥의 가장 큰 차이점은 상장기준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코스피
코스피는 대기업, 자본금액 300억 이상의 기업이 등록되어 있는 시장이라고 기억하시면 쉽습니다.
한국거래소에 의하면 코스피에 신규 상장을 위해서는 경과년수가 3년 이상, 자본금액이 300억원 이상 보유하여야만 최소한의 조건이 달성된 것입니다.
코스피 시장 상장조건
①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 1,000억 원 이상이면서 최근 3사업연도 평균 매출액이 700억 원 이상
② 시가총액 6,000억 원 이상에 자기 자본 2,000억 원 이상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려면 위의 조건 중 1가지 충족하면 가능합니다. 위 조건은 아무래도 대기업, 대기업 버금가는 중견기업 수준이 되어야 상장이 가능하며, 삼성전자, LG화학, 하이닉스 등 대기업들이 대표적으로 상장되어 있습니다.
코스닥
코스닥은 코스피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기업이 등록되어 있는 시장이라고 기억하시면 쉽습니다.
일반 조건은 시총 1,000억 원 이상이거나 자기 자본 250억 원 이상의 기준이 되면 코스닥에 상장이 가능합니다.
코스닥에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벤처기업, 중소기업이 상장되어 있어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에 비해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가 변동성이 큰 종목들이 상대적으로 많습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코로나 진단키트를 제작한 씨젠, 배터리주로 급부상하고 있는 에코프로비엠 등입니다.
코스피,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들은 매번 심사를 통해 필터링 되며, 기준이 미충족될 경우 밀려납니다.
다만, 각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코스피에서 퇴출된 기업이 코스닥으로 상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코스닥에서 퇴출된 기업은 코넥스로 밀려지는데, 코넥스는 중소기업들만 상장할 수 있는 시장입니다.
코스피 시가총액 순위
코스피 시가총액 순위 (2021.12.8. 오전 11:26 기준)
1위 - 삼성전자
2위 - SK하이닉스
3위 - NAVER
4위 - 삼성바이오로직스
5위 - 삼성전자 우
6위 - 카카오
7위 - LG화학
8위 - 삼성SDI
9위 - 현대차
10위 - 기아
코스닥 시가총액 순위
코스닥 시가총액 순위 (2021.12.8. 11:28 기준)
1위 - 셀트리온헬스케어
2위 - 에코프로비엠
3위 - 펄어비스
4위 - 엘앤에프
5위 - 카카오게임즈
6위 - 위메이드
7위 - 셀트리온제약
8위 - 에이치엘비
9위 -알티오젠
10위 - 천보